챗GPT 관심 속 생성형 AI의 아버지 샘 알트만 방한
한지은 기자
승인
2023.06.09 16:43
의견
0
사진=샘 알트만 OpenAI 대표가 9일 서울 영등포구 63빌딩에서 열린 'K-Startups meet OpenAI'에서 발언하고 있다.
생성형 인공지능 AI 챗GPT 개발사인 OpenAI의 샘 알트만(Sam Altman)이 중소벤처기업부(장관 이영)의 초청으로 한국을 방문했다.
알트만 CEO는 이날 이영 중기부 장관, 국내 스타트업들과 간담회를 가졌다. 이날 간담회는 AI 관련 대담을 시작으로 스타트업 Q&A, 기자단 질문 등의 순서로 약 80분간 진행됐다.
오픈AI 측은 샘 알트만과 임원진들이 참석했고, 스타트업은 참여를 신청한 334개사 중 협업 방안 검토, 추첨 등을 통해 선정된 100여개사가 행사에 참석했다.
먼저 대담 시간에서는 이영 장관과 샘 알트만 대표가 OpenAI 방한 목적과 K-스타트업과 협업 방안, 한국 사무소 설치 의향, 후배 창업자에 대한 조언 등과 관련하여 대담을 나눴다.
이어진 스타트업 질의시간에는 샘 알트만에게 OpenAI사의 서비스와 기업 및 개인정보 보호 정책, ChatGPT를 활용한 생산물의 저작권 관련 정책 등 AI 관련 기술적 내용과 향후 회사의 사업 방향에 대해 질의했다.
이날 간담회에서 알트만 CEO는 한국 딥테크 기업에 관심을 드러냈다.
그는 "한국은 인터넷 보급률이 가장 높고 테크놀로지도 그렇고 전 세계에서 볼 수 없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가 있는 나라로, 오픈AI는 한국과 협력할 준비가 돼 있다"며 "한국 스타트업들이 굉장히 훌륭하다고 알고 있다"며 "특히 딥테크 기업들에 대한 관심이 많고 대화하고 싶다. 지금이 창업의 골든시대라고 본다"고 말했다.
올트만 CEO는 한국 기업들이 오픈AI와 반도체 수준이 높다는 점을 언급하며 칩 개발에 협력하는 방안의 대화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그는 챗GPT가 인간의 저작권 등을 침해할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해서는 "반대로 되기를 희망한다"며 "기술이 진화되면 오히려 콘텐츠 개발자도 이득을 얻어야 하며, 예를 들어 기술을 활용해 BTS 스타일로 노래를 만든다면 BTS도 이득을 얻어야 한다"는 의견을 표했다.
이날 간담회와 관련해 이영 중기부 장관은 “오늘 간담회는 우리가 AI와 오픈AI에 대해서 궁금해하는 것을 오픈AI 대표인 샘 알트만으로부터 직접 확인하고 협력을 모색하는 뜻깊은 자리였다”며 “오늘 간담회를 시작으로 인공지능 관련 우리 스타트업이 세계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오픈AI와 지속적으로 교류하고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투데이포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